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년 장기요양보험 혜택과 등급별 정리

by l정보모음l 2025. 4. 19.
728x90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혼자서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운 어르신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들을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장기요양보험 제도를 통해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장기요양보험의 지원 대상, 등급별 기준, 제공되는 혜택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장기요양보험 혜택과 등급별 정리 (2025년)

1. 장기요양보험이란?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된 사람 중,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떨어진 고령자 또는 노인성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요양서비스와 돌봄을 제공하는 국가 복지 제도입니다.
신청자에 대해 등급을 판정하고, 등급에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요양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신청 자격

- 만 65세 이상 고령자
- 또는 65세 미만이더라도 치매, 파킨슨병, 중풍 등 노인성 질환이 있는 경우
-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인 도움이나 간호가 필요한 상태

 

3. 장기요양 등급별 기준

- 1등급: 거의 모든 생활영역에서 타인의 전적인 도움이 필요한 경우
- 2등급: 이동, 세면, 식사 등 많은 활동에 상당한 도움이 필요한 경우
- 3등급: 일부 일상 동작은 가능하지만 반복적인 도움이 필요한 상태
- 4등급: 간단한 활동은 가능하나 자주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
- 5등급: 경증 치매 등 인지 기능 저하 중심
- 인지지원등급: 일상은 가능하지만 치매로 인해 관찰과 관리가 필요한 경우

 

4. 주요 혜택

- 방문요양: 요양보호사가 가정에 방문하여 생활 지원
- 방문간호: 간호사가 건강 체크 및 투약 관리
- 주야간보호: 낮 시간동안 센터에서 돌봄과 프로그램 제공
- 단기보호: 일정 기간 위탁 보호가 필요한 경우
- 복지용구 지원: 침대, 휠체어, 보행기 등 연 최대 160만원 한도
- 가족요양비 지원: 가족이 직접 돌보는 경우 월 15만원 정액 지원 (일부 등급 해당)

 

 

5. 등급별 급여 한도 (2025년 기준)

- 1등급: 약 180만원
- 2등급: 약 160만원
- 3등급: 약 140만원
- 4등급: 약 130만원
- 5등급: 약 120만원
- 인지지원등급: 약 100만원


* 본인부담금은 평균 15퍼센트 수준이며,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전액 면제 가능

 

6. 신청 방법 및 절차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방문 또는 전화(1577-1000) 신청
- 방문조사 예약 → 공단 조사원 방문 → 의사소견서 제출
- 심사 후 등급 판정까지 약 30일 소요
- 등급 통보 후 급여 신청 가능

 

맺음말

장기요양보험은 단순한 요양원 이용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어르신이 자신의 집에서 가능한 한 오래 건강하게 생활하실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 제도입니다.

어르신 본인이나 가족이 생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제도이니 대상자라면 반드시 신청 여부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