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2025년 65세 이상 세금 감면 제도 총정리

by l정보모음l 2025. 5. 7.
728x90

65세 이상 고령자에게는 다양한 세금 감면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어르신에게 자동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각 세목별로 나이, 소득, 재산, 거주지역에 따라 적용 조건이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세금 감면 항목을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2025년 65세 이상 세금 감면 제도 총정리

1. 재산세 감면 (지자체 조례에 따라 적용)

재산세는 지방세에 해당하므로 전국 공통 감면 기준은 없습니다.
다만 일부 지자체에서는 고령자 1세대 1주택자에게 다음과 같은 감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시 조건 (지자체별로 상이):
- 만 65세 이상
- 1세대 1주택 보유자
- 실제 거주 주택
- 과세표준 1억 원 이하 주택
→ 재산세 20% 감면, 최대 100만 원 한도 등

※ 거주지 시청 또는 군청 세무과에 조례 적용 여부 확인 필요

 

2. 종합소득세 경로우대자 공제

소득세법 제51조에 따라, 만 70세 이상 납세자는 연 150만 원의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적용 조건:
- 만 70세 이상
- 기본공제 대상자에 해당할 것
- 종합소득세 신고 또는 연말정산 시 적용

※ 연금소득, 금융소득, 사업소득이 있는 고령자라면 반드시 적용 여부 확인 필요

 

3. 종합부동산세 고령자 세액공제

종합부동산세법 제9조의2에 따라, 고령자이면서 장기 보유한 1세대 1주택자에게 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적용 조건:
- 만 60세 이상
- 5년 이상 보유
- 1세대 1주택자

공제율:
- 60~64세: 20%
- 65~69세: 30%
- 70세 이상: 40%

※ 장기보유 세액공제와 중복 가능 (최대 80%)

 

4. 상속세 연로자 공제

상속세법 제20조에 따라,
피상속인의 상속인 또는 동거가족 중 만 65세 이상인 사람의 수에 따라
1인당 500만 원씩 연로자 공제가 적용됩니다.

적용 예시:
- 만 65세 이상 가족 2명 포함 → 1,000만 원 공제
- 인적공제와 중복 적용 가능

※ 연령 조건은 상속을 받는 사람(수유자)이 아닌, 피상속인의 동거 가족 및 상속인 기준입니다.

 

5. 자동차세 감면 (일반 고령자 제외)

일반적인 고령자에게는 자동차세 감면이 적용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특정 자격을 충족할 경우에만 일부 또는 전액 감면이 가능합니다.

감면 대상 조건:
- 국가유공자 + 만 65세 이상
- 장애인 등록 고령자

※ 차량 1대 한정, 시청 차량등록과 또는 복지부서에서 확인 필요

 

6.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

- 재산세: 거주지 시청·군청 세무과
- 종합소득세: 홈택스 또는 세무서
- 종부세: 홈택스 또는 세무서
- 상속세: 국세청 고객센터 또는 관할 세무서
- 자동차세: 차량등록과 또는 복지부서

※ 일부는 자동 적용되지만, 누락되는 경우가 많아 직접 문의하거나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맺음말

65세 이상 고령자를 위한 세금 감면 제도는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하지만 자격 조건, 적용 범위, 신청 여부에 따라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오늘 안내드린 내용을 기준으로 본인 또는 부모님이 어떤 항목에 해당하는지 꼭 확인해보시고,
필요 시 직접 신청해보세요.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