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5세 이상 통신요금 감면제도 총정리
고령자 통신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제도가 해마다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만 65세 이상 고령자라면, 소득 조건이나 통신사에 따라
다양한 요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부가 운영하는 요금감면 제도와 통신사별 시니어 요금제를 정리해드립니다.
✅2025년 65세 이상 통신요금 감면제도 총정리
1. 보편적 통신요금 감면 제도 (정부 지원)
운영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통신3사 (SKT, KT, LGU+)
대상자: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 차상위계층
- 기초연금 수급자
- 장애인, 국가유공자, 한부모가족 등
감면 내용:
- 이동통신: 월 최대 26,000원 감면
- 유선전화/인터넷 포함시 추가 감면 가능
신청 방법:
- 통신사 대리점 방문 (신분증 + 수급자 증명서)
-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연계 신청
※ 요금제 종류에 따라 감면 금액은 다를 수 있으며, 중복 할인은 제한됨
2. 통신사별 시니어 요금제 (65세 이상)
소득 조건이 없어도 만 65세 이상이면 신청 가능한 요금제로,
각 통신사에서 자체 운영하고 있습니다.
LG유플러스 시니어 요금제
- 월 기본료 11,000원대부터
- 데이터 제공 + 음성 무제한 (조건 있음)
- 문자 기본제공
- U+ 매장 또는 고객센터 신청
KT 시니어 요금제 (KT 와이프렌즈 등)
- 65세 이상 대상
- 음성/문자 중심 요금제
- 적은 통화량 이용자에게 적합
- KT 지점 또는 고객센터 신청
SKT 착한 시니어 요금제
- 데이터 1~2GB 제공
- 통화 및 문자 포함
- T다이렉트샵 또는 SKT 매장 신청
※ 복지 감면제도와 중복 적용 불가 ※ 자녀 명의 휴대폰은 대상 제외 ※ 일부 요금제는 제휴카드 연계 필요
3. 신청 방법 요약
- 통신사 대리점 방문 (신분증, 수급자증명서 지참)
- 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www.bokjiro.go.kr)
- 주민센터 복지팀을 통해 연계 신청 가능
고객센터 문의:
- LG U+: 101
- KT: 100
- SKT: 114 (휴대폰에서 무료)
맺음말
통신요금 감면은 어르신의 생활비 부담을 줄이는 데 매우 실질적인 도움을 줍니다.
정부의 복지 감면 혜택과 통신사 요금제를 잘 비교해서
본인에게 맞는 방식으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부모님이나 주변 어르신께 오늘 내용을 꼭 알려드리고,
대리점이나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노인 외래 진료비 정액제 총정리 (0) | 2025.05.07 |
---|---|
2025년 에너지바우처 신청 방법과 지원 금액 총정리 (0) | 2025.05.07 |
2025년 노인 대상 무료 복지시설·공공서비스 이용법 (0) | 2025.05.07 |
2025년 65세 이상 세금 감면 제도 총정리 (0) | 2025.05.07 |
2025년 노인 돌봄 서비스 종류와 신청 방법 (0) | 2025.04.30 |
댓글